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금 안내

by infofo 2023. 2. 8.

청년들의 사회적 진출을 돕기 위해 2023년 청년도전지원사업이 시행됩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의 신청자격과 프로그램 내용, 지원금, 신청방법, 전국 운영기관을 알려드립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자격

1. 구직단념청년 : 6개월 이상 취업 및 교육(직업훈련) 참여 이력이 없고 구직단념청년 문답표 21점(30점 만점) 이상인 만 18세~34세 청년

2. 자립준비청년 :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퇴소한 자 중에서 퇴소한 지 5년 이내의 청년 혹은 퇴소 대상자지만 퇴소일을 연장한 청년

3. 청소년 쉼터 입퇴소 청년 : 청소년쉼터에서 1년 이상 보호한 만 18세 이상의 청년

4. 북한이탈청년 : 북한을 이탈한 만 18세~34세 청년(민원 24에서 북한이탈주민등록확인서 발급하여 제출)

5. 지역특화청년 : 위의 요건 충족이 안되는 청년이라도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의 사업계획에 따라 지원 필요성이 인정되는 청년(예시, 심리상담 등 관리가 필요한 청년, 경력단절여성, 폐업 자영업 청년 등)

6.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대학졸업유예생, 장기 휴학생 등 취업이나 진학 의욕이 낮은 청년

※ 구직단념청년 문답표(https://www.work.go.kr/youngChallenge/index.do#none)

 

청년도전지원사업 지원금 및 프로그램

1. 프로그램별 지원금

구분 도전지원 프로그램 (1~2개월) 도전+ 지원 프로그램
(5개월 이상)
지원내용  인센티브 : 이수시 50만원 참여수당 : 250만원
(월 50만원 X 5개월)
인센티브 : 이수시 50만원 

2. 청년도전지원사업 프로그램 예시 (실제 프로그램은 각 지자체·민간 컨소시엄에서 준비하기에 다를 수 있습니다)

청년도전지원사업-프로그램-예시안
출처 - 고용노동부

청년도전지원사업 신청방법 및 운영기관 현황

1. 신청방법

2. 전국 운영기관 현황(35개 자치단체, 도전지원 프로그램 3,000명 / 도전+ 지원 프로그램 5,000명 목표)

청년도전지원사업-전국-운영기관-현황
청년도전지원사업-전국-운영기관-현황표
출처 - 워크넷

청년도전지원사업 안내를 마치며

청년도전지원사업은 2021년 새로 생긴 정부지원 사업으로 2022년에 총 5,795명의 청년이 참가했습니다. 2년 동안 참여한  9,082명의 구직단념 청년 중 58%인 5,335명의 청년이 취업이나 창업 등을 통해 사회 진출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둔 성공적인 사업입니다.

정부기관인 고용노동부에서 시행하는 사업으로 취업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지원금 지급에 안정성이 보장돼 있기 때문에 믿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자세히 읽어보셔서 취업도 하고 참여수당도 받는 일석이조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댓글